공포의 외인구단의 '까치 아빠' 이현세 작가가 AI와의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새로운 도전에 뛰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5년 동안 그린 4,500권 분량의 만화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켜 스스로 작품 연재를 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작가는 AI가 단순히 자신의 화풍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세계관을 적용한 스토리텔링까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현세 / 만화가 : 제가 이 세상에서 없어지더라도 추론해서 100, 200년 후에 사람들과 소통하고 공명한다는 것, 아주 신나지 않습니까?] <br /> <br />실제 웹툰에 적용되는 AI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? <br /> <br />클릭 한 번이면 밑그림 채색이 끝나고, 우리 동네 풍경을 웹툰 배경으로 등장시킬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메라 앞에 서면 자신이 좋아하는 웹툰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이 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김대식 / 네이버 웹툰 AI팀 리더 : (작가들이) 어렵다고 하시는 부분들의 대부분에 손을 대고 있고요. 그중에서 가장 먼저 나온 게 채색이고, 앞으로 얼마지 지나지 않아서 새로운 기술들을 공개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AI가 조력자의 역할을 넘어 작가들의 생존권까지 위협할 것이라며, 반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저작권 침해를 우려해 자신의 창작물을 AI 학습에 사용하지 말라는 작가들도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AI 창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충분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임상혁 / 변호사 : (AI의) 창작 행위를 통제할 수 있는, 또 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냐, 이런 논의는 필요하고….] <br /> <br />어디까지를 '창작의 범위'로 볼 것인가. <br /> <br />쏟아지는 AI 작품 속에서 웹툰 업계의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정윤입니다.<br /><br />YTN 차정윤 (jycha@ytn.co.kr)<br />촬영기자:양준모<br />자막뉴스:류청희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2018082102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